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린이를 위한 주식 기본 상식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지난번에 설명드린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하는 회사들은 어떤 조건을 가지면 상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도대체 어떤 회사는 코스피에 상장하고 어떤 회사는 코스닥에 상장하는지 궁금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요건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코스피의 주요 상장 요건
- 기업규모: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 설립 3년 이상
- 3년 평균 매출 700억원 이상
- 최근 매출액 1000억원 이상
- 상장 주식 100만 주 이상
*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은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사업을 지속한 대형 기업들로 등록되어 있어 지수 변동폭이 적은 편이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한 시장이다.
코스닥 주요 등록 요건
- 기업규모: 자기자본 30억원 이상
- 설립 후 0~3년 기업
- 매출액 50~100억원 이상
- 시가총액 90억원 이상
- 소액주주 500명 이상
*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은 중소, 벤처기업들로 구성된 만큼 변동성이 크다.
이렇게 비교를 해본 것처럼 코스피에는 굴지의 대기업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자기자본이 300억이며 3년 평균 매출이 700억 이상이라면 이미 대기업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주식을 투자할 때 코스피가 좋다 코스닥이 좋다는 사실 큰 의미가 없을 듯 싶습니다. 어쨋든 우리가 사야할 종목은 저렴한 주식이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싼 주식을 살 수 있는 눈을 키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상장회사 확인방법
이제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회사들은 어떤 회사들이 있을지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듭니다. 그렇다면 다음 주소로 들어가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KRX(정보데이터시스템):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저는 앞으로 KRX 사이트를 잘 이용해보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주식회사들의 기본정보 뿐만 아니라 각 주식들의 PER/PBR/배당수익률과 같은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하고 엑셀이나 CSV 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어서 각 업종별 평균 PER/PBR/배당수익률과 같은 내용을 잘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도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되어있는 회사를 업종별로 분류하면서 업계의 평균적인 PER/PBR/배당수익률과 같은 내용을 공부하시고 적정가격을 구하여 싸고 좋은 주식들을 많이 사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주요 상장요건 및 상장회사들 확인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한번 눌러주시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글을 작성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우리 모두 함께 성장하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가 상장하는 이유 (0) | 2021.06.12 |
---|---|
[경제용어] 코스피 지수란? (feat. 코스피지수 산정 방법) (0) | 2021.06.08 |
[경제용어] '보합세' & '혼조세' (+마디지수)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