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용어] '보합세' & '혼조세' (+마디지수)

by 히즈피스 2021. 6. 7.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린이를 위한 경제용어를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저 또한 주린이로서 용어를 일단 모르면 경제를 이해하기가 참 어렵다는 생각을 합니다. 오늘은 그래서 "보합세"와 "혼조세" 그리고 "마디지수"라는 용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합세란?

가격 변동이 거의 없이 그대로 유지되는 시세를 의미합니다. 주식시장이나 물가지수, 부동산 가격 등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가격의 급등락이 작은 것을 말합니다.

혼조세란?

혼조세라는 언어 자체를 풀이하자면 혼탁한 물의 흐름입니다. 이것을 경제에 적용해보면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 변동이 큰 상태를 말하며 시장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정리하자면 보합세는 시장의 안정 혹은 침체를 의미하고 혼조세는 시장의 활기 및 불안을 의미합니다.

마디지수란?

마디지수란 "코스피지수가 3200선을 넘었다.",  "코스닥지수가 990선을 넘었다" 등 10이나 100의 단위로 딱 떨어지는 것을 말하는 용어로 보통 주식을 브리핑해주는 뉴스나 기사를 쓰는 기자들 사이에서 쓰는 용어로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쓰는 용어는 아니지만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을 이해하기에는 알아두면 좋은 용어입니다.

 

이상으로 짧지만 "보합세", "혼조세", "마디지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여러분들도 이러한 용어를 잘 이해하셔서 주린이에서 주른이로 경제적 자유인으로 한발자국 매일 나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에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한번 눌러주시고 가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을 쓰는 원동력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