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용어] 코스피 지수란? (feat. 코스피지수 산정 방법)

by 히즈피스 2021. 6. 8.

코스피(KOSP: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I) 지수란 한국종합주가지수라고 표현되기도 하며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들의 전체적인 주식 변동 사항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이다. 따라서 이 지수를 이용해 주식, 펀드, 예금 등 상품 간의 수익류를 비교하는 기준으로도 이용되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및 발전 가능성을 예측하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코스피 지수 기준은 1980년 1월 4일을 기준 시점으로 이날의 종합주가지수를 100으로 정하여 개별 종목의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가중한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하여 산출한다. 식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종합주가시주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x 100

이에 비해 코스닥 지수 기준은 1996년 7월 1일을 기준치 1000으로 하고 있으며, 1997년 1월 3일부터 실시간으로 산출 발표되고 있다.

++ 그렇다면 나스닥이란 무엇일까?

나스닥이란 뉴욕증권거래소(NYSE) 뒤를 잇는 세계 2위 증권거래소이다. 중소 및 벤처기업 위한 시장으로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의 IT 회사가 상장되어있다. 일반적인 수수료가 뉴욕증권거래소보다 작다.